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심리, 상담)

청소년 (시간제)동반자 면접 준비

by 열심쟁이 써니 2023. 12. 18.
반응형

자격증 준비와는 거리가 있지만 

청소년 상담사 등 상담자격증을 소지하신 분들이 청소년 동반자로의 유입을 희망하시는 경우가 많은 듯하여

면접 준비와 관련한 사항을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첫 번째로는 해당 지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홈페이지에서 채용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청소년상담사 관련 채용공고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사이트 내에 있는 청소년상담사 메뉴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더 나아가 상담 관련 채용공고는 한국상담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 카운잡 등을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https://www.youthcounselor.or.kr:446/new/sub05_2_1_list.html

 

https://www.youthcounselor.or.kr:446/new/sub05_2_1_list.html

 

www.youthcounselor.or.kr:446

 

한국상담학회 http://counselors.or.kr/

 

한국상담학회

상담전공자,전문상담사 자격,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학술지 발행

www.counselors.or.kr

 

한국상담심리학 http://krcpa.or.kr/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는 상담심리사 자격증을 발급,관리하고 있는 심리상담 전문 학회입니다 2021년 기준 학회원은 총 40,000명 이상으로 구성원들은 현재 전국 대학의 대학원생, 교수, 상담실무자 (

krcpa.or.kr

 

카운잡 http://counjob.co.kr/

 

학지사에듀 카운잡

상담심리 임상심리 언어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학습상담 전문 구인 구직 카운잡

www.counjob.co.kr

 

반응형

 

두 번째로는 청소년 (시간제) 동반자로서 자신의 스펙을 점검해야 합니다.

이는 채용공고에 상세하게 나와 있을 텐데요. 

대부분 관련 학과 전공, 청소년상담사 3급 이상 자격증 등을 요구하는 듯합니다. 

예시로 아래와 같습니다. 

 

세번째로는 면접 준비를 해야겠지요.

저는 올해 9월부터 청소년 시간제 동반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5:1 경쟁률이었습니다.

면접 시간은 거의 1시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3인 1조/ 면접관 4명)

면접질문으로는 자기소개와 지원동기, 사례 개념화, MMPI 척도 해석, 위기 사례 대처, 직장 내 갈등 대처 방법 등

상담이론, 실무를 비롯해 폭넓게 질문을 받았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청소년 동반자 중에서도 특히 시간제 동반자의 경우 경쟁률이 높은 편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시간제 동반자의 메리트는 다음과 같고, 이로 인해 경쟁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1) 워라밸 가능: 시간제이므로 탄력적으로 스케줄을 조정할 수가 있다.(개인 업무 가능, 투잡 가능, 일-가정-육아 병행 가능)

2) 상담 업무에 집중: 행정업무 비중이 낮기에(아예 없진 않습니다!) 상담에 집중할 수 있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다.

3) 초심 상담자에게 상담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 완화: 센터 소속으로 상담이 진행되므로 체계적인 흐름을 익힐 수 있고 동료 선생님들을 통해 노하우 전수, 사례회의 등으로 상담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4) (상담)공부와 일 병행 가능: 시간제 이므로 급여가 높지 않습니다. 용돈을 벌면서 (상담) 공부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5) 전일제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 업무를 익히는 것이 수월하다. 

 

반면에, 약 3개월 근무 동안 느낀 어려움은 

1) 의외로 시간 조정이 어려울 수 있다: 청소년들의 요구 시간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저녁 늦게(또는 주말)까지 상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방과 후 상담이 이루어지며 학원 등 내담자 스케줄에 맞춰야 함)

2) 주 6시간 상담시간을 채워야 하는 압박감이 있을 수 있다: 갑자기 노쇼 하거나 상담일에 연락이 두절되는 등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 6시간 상담시간을 채우기 어려울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전일제 상담사와 상의하시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주 12시간의 근무시간 보다 훨씬 초과하여 근무하게 된다: 상담시간 이외에도 이동시간, 일지 작성, 전산 입력 등의 업무

수행으로 주 12시간보다 근무 시간은 초과되나 급여로는 인정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차가 있어야 하는지도 궁금하실 거에요. 이는 지역차가 있을 듯한데요.

일단 저는 현재 자차가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 중입니다!

차 없이도 활동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다만, 이동시간이나 날씨, 대기시간 등을 고려한다면 차가 있으면

훨씬 수월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차 없으면 안 된다 이건 아니니 도전하세요!

 

아울러, 나이도 고민 많이 하실 것 같아요~

제가 있는 센터는 20대 후반부터 50대까지 다양합니다. 물론, 20대 후반 비율이 높지만 30, 40, 50대까지 일하고 있으시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망설이지 마시고 일단 도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어디서 제가 본 글인데요. 박사이어야 한다. 1급 자격증 소지자가 유리하다.. 등등....

물론 박사이고 1급이면 좋겠지요! 그런데 저의 경우 석사 졸, 2급 자격증 소지(청상, 임상, 직상, 전문상담사)입니다. 

함께 활동하신 동반자 상담자 중에서는 청상 3급 만을 소지한 경우도 있었고요. 

 

아마 이는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우선 채용공고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충족하신다면 지원해 보시고

면접에서 자신의 역량을 뽐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2월이니 이번 달에는 채용공고나 면접이 많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준비하시는 면접이나 채용건이 있다면 좋은 결실 맺으셨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