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

인간중심상담

by 열심쟁이 써니 2023. 8. 2.
반응형

인간중심상담

인간중심 심리치료, 인간중심 상담, 고객 중심 치료이자 로지안 심치치료라 알려진 인간 중심 상담은 1940년대 칼 로저스(Carl Rogers)로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 무렵까지 확대된 심리치료의 한 흐름이다. 무조건 긍정적 평가(수용), 일치성(진실성, 진정성, 진솔성), 공감적 이해를 통해 인간의 자기실현성인 "성취와 성장에 대한 내재적 성향"을 증진하고자 하는 인간 중심치료이다.

 

인간중심

 

인간중심상담의 역사와 영향

인간중심상담은 1940년대~1950년대 칼 로저스(Carl Rogers)에 의해 창시되었고 1951년에 발간된 그의 저서인 고객중심치료법을 통해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습니다. 인간중심상담은 정신분석학, 고전 아들러 심리학, 인지행동치료, 실존치료, 심리역학적 심리치료 등과 함께 이론적 지향의 심리치료의 주요 흐름 중 하나로 인식되었습니다. 경험적 연구의 결과에서 근본적인 이론은 비롯되었습니다. 로저스가 다른 학자들은 "사실은 늘 우호적이다"라고 안심시키기 위해 노력하면서 경험적 연구에 따른 첫번째 상담이론이었습니다. 원래는 비지시적 치료법이라 일컬어졌던 이론은 "프로이트 정신치료법에 대한 실행가능성 있고 일관된 대안을 제공했습니다." 로저스는 치료적 관례를 프로이드의 권위적인 짝짓기와는 별도의 것이라고 재명명하였습니다. 

인간중심치료는 간혹 인문학 치료로 묘사되나, 그 주된 원리는 인문학적 심리학보다는 그 전에 확립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일부 사람들은 "사실 확립된 다른 인문학적 치료법과 공통점이 많이 없다."라고 주장했으나, 1960년 중반까지 로저스는 행동 및 정신분석 학자들과는 다르게 타 인문학적(혹은 현상학적 존재) 심리학자로 구분되는 것을 허용하였습니다. 1940년대 미국에서 심리학자들이 심리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법적으로 허락되지 않았기에 상담이라는 단어를 로저스는 만들었습니다. 단지 의료직 종사들만이 자신들의 직무를 설명하고자 심리치료라는 단어를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로저스는 인간의 개인적 경험을 치효효과의 기초와 기준으로 확신하였습니다. 행동치료와 같은 다른 치료에서 의도될 수 있는 측면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치료의 특징은 과거 또는 미래가 아니라 현재에 살 것, 유기체적인 믿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의 정확성에 대한 확고한 믿음, 자유에 대한 책임감 있는 인정, 우리 세계에 전적으로 참여하고 다른 인간들의 삶에도 기여하는 관점까지를 포함합니다. 또한, 로저스는 치료과정은 근본적으로 고객이 획득한 성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였습니다. 고객은 이미 성숙과 성장발달에 따라 더 진전된 상태에서 심리적으로 좋아하는 환경의 도움을 얻어 더 진전해 나갑니다. 비록 고객 중심의 치료법이 구조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행동주의 학자들로부터, 실제 조건부적인 관계를 제공하다는 까닭으로 정신분석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아왔으나, 효과적인 상담치료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간중심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

로저스는 6가지의 필요충분조건을 들어 치료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1. 치료사와 내담자의 심리적 접촉: 내담자와 치료사는 반드시 그 관계가 존재해야 하며, 상호 간 각각의 인식이 중요한 관계이어야 합니다.

2. 불일치를 경험하는 내담자: 내담자의 인식과 경험 간에는 불일치(로저스에 따르면, "실제로서의 자아와 이상적으로의 자아 사이의 불일치")가 존재해야 합니다.

3. 치료자의 일치성(진실성, 진솔성): 치료자는 치료 관계 속에 일치해야 합니다. 치료자는 상담관계에 깊숙이 관여하나 직접적인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치료자들은 상담관계의 용이성을 위해 자기 자신의 경험을 털어놀 수 있습니다.

3. 치료자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평가를 내립니다: 치료자는 거부, 판단이 없는 무조건적으로 내담자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가치에 대해 가지는 관점이 왜곡, 혹은 거부된 경험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자기 존중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치료자의 공감적 이해: 치료자는 내담자의 내적 기준 틀에 대해 공감적 이해를 합니다. 치료자의 공감과 치료자의 무조건적인 배려를 내담자가 믿게끔 도와줍니다.

5. 내담자 인식: 내담자는 치료자의 무조건적인 긍정적 배려와 공감적 이해를 최소한으로 인식합니다. 

*핵심조건: 성공적인 인간중심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한 태도입니다. 치료자의 태도는 치료자에 초점을 둔 3가지 조건에 의해 정해지며, 이를 간혹 핵심조건이라고 합니다. 

 - 합동: 치료자는 전문적 측면이나 개인적 측면 뒤에 숨으려 하지 않고 내담자와 투명하게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합니다. 

 - 무조건적인 긍정적 고려: 치료자는 그들의 내담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행동, 특성, 거부감을 전하지 않고 판단, 조언, 방해를 하지 않으로 주의깊게 경청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 공감: 치료자는 내담자의 관점을 헤아리고 감사하는 욕구를 전달합니다. 

 

인간중심상담의 발전

로저스는 3가지의 핵심조건을 구체화하는 치료자가 두려움없이 내담자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끔 조력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담자 중심의 치료자는 내담자와 가장 밀접하며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문제를 깊게 탐구할 수 있도록 상담현장에서 내담자의 의사소통 방식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되도록이면 피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로저스는 내담자에게 무엇을 해야할지 지시하는 것에는 규범적이지 않았으나, 내담자의 질의에 대한 대답은 치료자가 아니라 내담자 내에 있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치료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쉽고 공감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반응형

'심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심리학  (0) 2023.09.06
발달심리학  (0) 2023.08.04
가족상담  (0) 2023.08.01
성격심리학  (0) 2023.07.31
여성주의 상담  (0)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