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치료

인지치료

by 열심쟁이 써니 2023. 7. 5.
반응형

인지치료

인지치료는 인지행동치료라고도 알려졌으며 부정적이거나 왜곡된 행동과 사고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심리치료법의 한 종류입니다. 인지치료의 기본전제는 인간들의 생각, 행동, 감정이 상호 간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들의 생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인간들은 인간들의 행동과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지치료는 전통 정신분석학 치료법에 불만을 지닌 정신과 의사 아론 벡이 1960년대 개발하였습니다. 그는 부정적인 생각을 파악하고 도전하여 인간들은 그들의 감정적이며 행동적인 결과를 향상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인

 

인지치료

인지치료의 방법

인지치료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비합리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구별하고 정확성을 평가하며 그것들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치료자는 내담자가 부정적인 생각을 구별하고 보다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 구조조정처럼 기술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행동실험이나 노출치료와 같은 행동기술을 역시 내담자가 불안과 두려움에 직면 및 극복을 돕기 위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지치료는 불안장애,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섭식장애를 비롯한 여러 정신건강 문제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지치료는 간혹 마음챙김 기반 접근법이나 약물과 같은 다른 치료법과 병행되어 사용됩니다.

전반적으로, 인지치료는 인간이 부정적인 행동이나 사고 패턴을 구별하고 변화시켜 행동적, 정서적 결과를 좋게 고칠 수 있도록 돕는 치료라는 점에서 목표 지향적이고 구조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의 핵심

인지치료의 핵심 요인 중 하나는 자동적인 개념과 생각입니다. 이것들은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반응하여 종종 무의식적이거나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생각들입니다. 자동적인 생각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일 수 있고 물론 중립적일 수도 있지만, 인지지치료에서는 행동과 감정을 힘들게 하는 부정적인 자동적인 생각을 구별해 내고 도전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인지치료의 중요한 다른 요인은 바로 숙제입니다. 인간들은 종종 치료 효과를 위해 치료 영역 밖에서 수행해야하는 숙제를 받습니다. 숙제에는 휴식기술을 연습해 보거나 사고기록을 유지해 보거나, 점점 두려운 상황에 직면해 보는 것이 포함됩니다. 실제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을 연습해 봄으로써 인간들은 뇌에서 새로운 신경경로를 강화하며 더욱 적응적인 행동과 사고 패턴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의 예

인지치료의 예를 들어, "내가 말을 하면 모두가 나를 바보같다고 판단할 것이다."라고 자동적인 생각을 하는 사회적 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생각은 사회적 상황에 대한 회피나 두려움의 감정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에서 치료자는 내담자가 이러한 자동적인 생각을 구별해 내고 그것의 정확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다른 모든 사람들이 당신을 그렇게 판단할 것이라는 것이 정말일까요?" 또는 "그 생각에 대한 증거가 있나요?'와 같이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이후 치료사는 "일부 사람들은 나를 판단할 수도 있겠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니 괜찮다."처럼 균형적이고 현실적인 생각을 내담자가 하도록 도울 것입니다. 참고로 인지치료는 단기치료가 일반적이며 주로 12~20회기 내에서 치료가 마무리됩니다. 그러나 치료기간은 개인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심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치료에 대해서  (0) 2023.07.15
교류분석  (0) 2023.07.06
합리정서행동치료  (0) 2023.07.04
게슈탈트 치료  (0) 2023.07.04
실존주의 상담이론  (0) 2023.07.03